2022년 보통주 배당정리.아홉번째. 한국기업평가(034950)
앞에서 썼던 2022년 보통주 배당 순위 1~60위 중 특별배당이 아닌 통상배당종목들을 따로 정리해봤다.
작성자의 수준에서 통상배당과 특별배당을 구별하기 어려운경우는 종목제외 했습니다.(배당이 들쭉날쭉 한경우, 배당지급액의 편차가 심한경우, 자산을 처분하는 등 특별한 사건이 없고 당기순이익이 감소했는데 배당이 크게 증가한경우 등)
https://stocksfactory.tistory.com/7 <----- 2022년 보통주 배당순위 보러가기
한국기업평가(034950)
1.개요
1.1회사개요
1983년 설립. 2개의 종속회사와 신용평가산업을 영위함. 동사 사업부문은 신용평가부문과 사업가치평가부문으로 분류됨.
동사는 금융시장의 선진화를 목표로 설립된 신용평가 및 컨설팅 전문기관으로 오랜 업력과 풍부한 용역수행 경험 및 노하우를 바탕으로 명성을 확보하고 있음.
2021년 기준 시장 점유율은 33.5%를 기록하며, 비교적 안정적인 시장규모를 유지하는 경향이 있음.
주요 종속회사로 이크레더블이 있음
1.2사업내용
사업부문 | 매출유형 | 제공서비스 | 비율 |
신용평가 | 용역 | 기업어음, 회사채, ABS(자산유동화증권), 보험금지급능력, 보증기관 등에 대한 신용평가 | 69.3% |
사업가치평가 | 용역 | 사업성평가, 밸류에이션, 프로젝트파이낸스 및 부동산, SOC(사회간접자본), 기업진단 및 구조 조정, ESG(환경·사회책임·지배구조) 금융상품 평가 등에 대한 서비스 | 29.3% |
정보사업 외 | 용역 | 보고서판매 등 | 1.4% |
계 | - | 100% |
-사업가치평가부문의 일부 프로젝트를 제외하고는 대부분의 용역이 단기간내에 제공되고 있음
-한국기업평가, 한국신용평가, NICE신용평가 3개의 기업이 국내시장의 약99%이상을 차지하는 과점시장 체제를 유지하고 있다.
2.배당
연도 | 2022 | 2021 | 2020 | 2019.4Q | 2019.1,2,3,Q | 2018.4Q | 2018.1,2,3Q |
배당금 | 5,100 | 3,397 | 2,907 | 8,518 | 100 | 70 | 2,290 |
시가 배당율 |
6.9% | 4.3% | 2.6% | 14.1% | 0.2% | 0.1% | 4.3% |
-18년과 19년은 3분기 배당과 4분기 배당 두번에 나눠서 배당을 했으나 둘중 한쪽으로 몰하서 배당을 함
연도 | 2022 | 2021 | 2020 | 2019 | 2018 |
배당금 | 5,100 | 3,397 | 2,907 | 8,618 | 2,360 |
시가 배당율 |
6.9% | 4.3% | 2.6% | 14.3% | 4.4% |
배당금총액 | 22,750,442,100 | 15,153,578,787 | 12,967,751,997 | 38,443,786,278 | 10,527,655,560 |
연도 | 2022 | 2021 | 2020 | 2019 | 2018 |
당기순이익 | 25,488,331,090 | 26,749,657,899 | 24,163,312,668 | 24,756,034,833 | 20,233,820,439 |
배당금총액 | 22,750,442,100 | 15,153,578,787 | 12,967,751,997 | 38,443,786,278 | 10,527,655,560 |
배당성향 | 89.3% | 56.65% | 53.67% | 155.3% | 52.03% |
-이익이 큰 폭으로 증가하지는 않고 배당금총액도 매년 늘어나는 모양은 아니지만 위 5년만 보면 현금이 쌓이면 폭탄배당을 하는것으로 보임
3.배당가능성
3.1 2023.1Q매출
매출유형 | 2023.1Q | 2022 | 2021 |
신용평가 | 9,817,222,828 | 37,775,300,419 | 40,858,387,984 |
사업가치평가 | 2,121,275,365 | 15,954,207,475 | 17,309,631,801 |
정보사업 외 | 305,430,680 | 763,316,945 | 695,376,043 |
합 계 | 12,243,928,873 | 54,492,824,839 | 58,863,395,828 |
- 신용평가
금리 하향 안정화에 힘입어 채권발행규모가 증가하여 전년 동기대비 2.7% 증가한 98억원의 실적을 기록함
- 사업가치평가
금리인상에 기인한 인수금융 시장 침체와 부동산PF 시장 냉각에 따라 전년 동기대비 41.1% 감소한 21억원의 매출액을 기록함
- 정보판매
전년 동기대비 40.8% 성장한 3억원의 실적을 기록함
3.2매출상세
2023.1Q | 2022.1Q | |
Ⅰ.영업수익 | 19,063,568,597 | 22,689,068,415 |
(1)신용평가 | 9,817,222,828 | 9,814,609,265 |
(2)사업가치평가 | 2,121,275,365 | 3,602,793,657 |
(3)정보사업 | 305,430,680 | 216,989,000 |
(4)서비스매출 | 6,819,639,724 | 9,054,676,493 |
Ⅱ.매출총이익 | 19,063,568,597 | 22,689,068,415 |
Ⅲ.영업비용 | 18,040,558,301 | 16,502,722,842 |
(1)인건비 | 9,701,473,342 | 10,686,119,397 |
(2)영업경비 | 2,754,173,036 | 2,747,206,665 |
(3)일반경비 | 5,584,911,923 | 3,069,396,780 |
Ⅳ.영업이익 | 1,023,010,296 | 6,186,345,573 |
XI.당기순이익 | 1,168,924,566 | 4,957,055,018 |
-수익부문에서는 사업가치평가부분 서비스매출부분이 하락했음.(사업가치평가의 매출하락이유는 윗내용 참고)
3.2.1수익상세
2023.1Q | 2023.1Q | 2023.1Q | 2022.1Q | 2022.1Q | 2022.1Q | |
구 분 | 한국기업 평가 |
이크레더블 | 연결후 금액 | 한국기업 평가 |
이크레더블 | 연결후 금액 |
총부문수익 | 12,243,929 | 6,829,866 | 19,063,569 | 13,634,392 | 9,064,902 | 22,689,068 |
영업이익 | 2,162,984 | -1,139,974 | 1,023,010 | 3,250,027 | 2,936,319 | 6,186,346 |
당기손익 | 10,686,022 | -1,028,856 | 1,168,925 | 22,493,758 | 2,400,236 | 4,957,055 |
-한국기업평가의 수익도 하락했지만 이크레더블의 손실이 영업이익,당기순이익의 큰폭감소에 영향을 준것으로 보임.
3.2.2비용상세
(단위:천원)
구 분 | 2023.1Q | 2022.1Q |
복리후생비 | 1,440,325 | 1,370,367 |
일반통신비 | 38,942 | 44,352 |
도서신문비 | 4,747 | 7,343 |
교육훈련비 | 18,594 | 14,879 |
수선유지비 | 215,552 | 188,418 |
차량비 | 9,637 | 10,710 |
영업활동비 | 148,229 | 136,028 |
회의비 | 34,364 | 46,713 |
소모품비 | 12,328 | 18,928 |
지급수수료 | 921,346 | 671,412 |
행사비 | 47,333 | 9,096 |
지급임차료와관리비 | 247,059 | 224,462 |
제세공과 | 2,392,070 | 290,293 |
대손상각비 | 54,386 | 36,396 |
합 계 | 5,584,912 | 3,069,397 |
-지급수수료와 제세공과부분이 의미있게 상승.(제세공과에 대한 내용을 찾아봤으나 찾지 못함.)
3.3그 외
-2분기에 매출과 영업이익이 몰려있음
4.결론
-2020년 이후로 연배당을 실시하다 23년에 반기배당을 실시함. 상반기 배당금액에 대한 공시는 아직 안나왔으나
2018년, 2019년의 기록을 보면 연배당의 대부분 혹은 낮은비율의 배당을 한 경험이 있음. 23년 상반기 배당금이
전년도 배당금과 비교했을때 작은 비율로 실시가 된다면 시가배당율 확인 후 지켜봐도 좋을듯 하다.
-본 글은 작성자의 공부를 위해 작성된 글이며 특정 종목이나 투자처를 권유 혹은 유도하는 내용이 아니며 본 글에서 사용되는 자료는 정확성과 안전성을 보장하지 않습니다. 게시글이 올라가는 시점에 작성자는 이미 매수 혹은 이미 매도를 하여 보유하고 있지 않습니다.
따라서 모든 투자는 본인 책임하에 결정하서야 합니다.